LG 상업용 천장형 에어컨 [LG 에어컨 성에][냉방] 실외기 배관에 성에가 껴요.
이런 원인/증상이 있나요?
필터 이물에 의한 현상이에요.
냉매(가스) 부족 현상이에요.
이렇게 해보세요.
먼지 필터를 청소해 주세요.
냉방 사용 중 실외기의 굵은 파이프 연결 부위에 성에가 낀다면 실내기 먼지 필터에 먼지가 많이 쌓여 공기 순환이 줄어들면서 냉기 방출이 안되어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어요.
※ 냉방이 잘 되면서 약간의 성에가 보인다면 환경적 원인으로 나타나는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으니 점검 없이 계속 사용해도 됩니다.
예) 환절기, 실내 실외 온도가 낮을 때
냉매(가스) 부족 현상일수 있어요.
냉방 사용 중 냉방이 약하면서 실외기의 굵기가 작은 파이프 연결 부위에 성에가 낀다면 냉매 부족이나 실외기 부품의 고장 일수 있어요.
에어컨 전용 차단기를 내렸다 3분 후에 올려서 사용해 보고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전문 서비스매니저여 점검을 권유 드립니다.
LG 상업용 천장형 에어컨 [LG 에어컨 냄새] 갑자기 에어컨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요.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냉방 운전 시 제품 내부의 열교환기에 공기 중의 수분이 냉각이 되어 응축수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더운 여름날 차가운 물을 담은 컵 주변에 이슬이 맺히는 원리와 같습니다.
열 교환기가 축축이 젖어있는 상태에서는 외부 환경 요인의 냄새가 침착되거나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송풍구에서 퀴퀴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이는 습한 걸레를 빨지 않고 오래 두면 안 좋은 곰팡이 냄새가 나는 원리와 같습니다.
이렇게 해보세요.
설정온도를 20℃ 이하로 낮게 설정하시면 열 교환기의 냉각 효과가 지속되어 냄새가 나는 증상이 개선이 됩니다.
또한 냉방 운전 후 운전 모드를 송풍으로 바꾼 후 약 5분 정도 송풍 운전을 해주 시면 열 교환기의 수분이 건조되어 냄새가 줄어듭니다.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필터가 오염되었을 시에도 송풍구에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사용설명서에 따라 흡입 필터 청소를 탈거하여 물로 청소한 다음 필터에 베어 있는 냄새 성분이 증발되도록 그늘에 말려 주십시오.
그래도 냄새가 지속될 시에는 내부 분해 세척을 하여야 합니다.
LG 상업용 천장형 에어컨 [LG 에어컨 에러코드] 점검코드 CH61
이런 원인/증상이 있나요?
[냉방] 사용 중 실외기실 환기창을 열지 않았어요.
[난방] 사용 중 실내 먼지 필터가 막혔어요.
이렇게 해보세요.
[냉방] 사용 중 실외기실 환기창은 열었나요?
→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에 올리고 환기창을 개방해 주세요.
실외기 과열로 인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실외기 주변 장애물을 정리하고 실외기실 환기창을 일직선으로 개방해 주세요.
[난방] 사용 중 실내 먼지 필터 청소를 하셨나요?
→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에 올리고 필터를 청소해 주세요.
실내기 필터 막힘으로 인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필터를 청소한 지 한 달 이상 되었다면 난방기를 정지한 후 필터를 청소해 주세요.
LG 상업용 천장형 에어컨 [LG 에어컨 리모컨] 리모컨이 안돼요
이런 원인/증상이 있나요?
리모컨 건전지가 방전되었어요.
차단기가 내려져 있어요.
제품 구입 시 받은 리모컨이 아니에요.
삼파장 형광등 고장이에요.
에어컨 리모컨 점검이 필요해요.
이렇게 해보세요.
리모컨 표시창이 꺼져있나요?
➔ 건전지를 교체해 보세요.
운전 버튼을 눌러도 리모컨 표시창이 꺼져 있다면 건전지를 교체해 보고 건전지 교체 후에도 표시창이 나타나지 않거나 화면이 나타났다 꺼진다면 리모컨 고장이니 리모컨을 교체하세요.
리모컨 표시창이 정상적으로 나타난다면 휴대폰을 이용해서 리모컨을 점검해 보세요.
휴대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면 리모컨 고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 등 일부 모델 지원 불가)
휴대폰 카메라를 향하여 리모컨 버튼을 눌렀을 때 불빛이 반짝이면 리모컨은 정상이며 에어컨 본체를 점검 받아야합니다.
에어컨 전용 차단기가 내려져 있나요?
➔ 차단기를 찾아 올려 주세요.
차단기에는 [에어컨] 또는 [A/C]로 표기되어 있어요.
에어컨 전용 차단기가 내려져 있으면 리모컨을 눌러도 반응하지 않습니다.
제품 구입 시 받은 리모컨이 맞나요?
리모컨의 전원 및 온도 조절 부분은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나 엘지전자에서 제조한 리모컨이 아니거나 다른 제품의 리모컨인 경우 호환이 안되거나 일부 기능이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리모컨의 버튼을 눌렀을 때 본체에서 띵~ 신호음이 들리지 않는다면 해당 모델에는 적용되지 않는 기능입니다.
ex) 좌우바람, 상하바람, 먼지상태, 전력량, 난방, 히터, 예약 버튼 등
잠깐! 더 알아보세요.
삼파장 형광등 고장을 확인해보세요.
삼파장 형광등이나 네온사인 등 강한 빛이 발생하는 곳에서는 리모컨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형광등을 끄고 테스트하여 잘 동작을 한다면 형광등 램프 고장일 수 있습니다.
참고해 주세요!
리모컨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 건전지/배터리를 분리해서 따로 보관하시면 건전지/배터리 방전과 리모컨 고장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리모컨 건전지/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누액이 흘러내려 리모컨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출처: LG전자
FAQ: https://www.lge.co.kr/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