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지 가정용 천장형 에어컨 [LG 에어컨 전원] 전원이 켜지지 않아요.

LG 가정용 천장 에어컨 [LG 에어컨 전원] 전원이 켜지지 않아요.

이런 원인/증상이 있나요?

에어컨 전용 차단기가 내려져 있을 경우

무선 리모컨의 건전지가 방전 되어 있을 경우

에어컨 리모컨 점검이 필요해요.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에어컨은 별도의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차단기가 내려가 있으면 전원이 켜지지 않아요.

에어컨 전용 차단기에는 [에어컨 또는 A/C]로 표기되어 있어요.

 

이렇게 해보세요.

에어컨 전용 차단기가 내려가 있나요?

➔ 에어컨 전용 차단기가 내려가 있다면 차단기를 올려주세요.

 

에어컨 전용 차단기 위치

아파트 경우 현관 입구 또는 신발장 안쪽을 확인해 보세요.

확인이 안될 경우 건물 관리자에게 차단기 위치를 확인해 주세요.

 

 

무선 리모컨 화면에 숫자나 글자가 보이시나요?

➔ 무선 리모컨 액정화면이 꺼져 있다면 배터리를 교체해주세요.

배터리 교체 후에도 리모컨 액정화면이 꺼져 있다면 리모컨을 교체해 주세요.

 

 

잠깐! 더 알아보세요.

가정용 천장형의 실외기 실 내부에 별도의 실외기 전원 스위치 확인

 

가정에 설치되는 천장형 에어컨의 경우에는 에어컨 차단기 외에 실외기실 내부에 별도의 실외기 전원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실외기 전원 스위치가 ON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참고해 주세요!

리모컨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 건전지/배터리를 분리해서 따로 보관하시면 건전지/배터리 방전과 리모컨 고장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리모컨 건전지/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누액이 흘러내려 리모컨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LG 가정용 천장 에어컨 [LG 에어컨 냄새] 에어컨만 사용하면 눈이 따가워요. 눈이 매워요.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새로 구입한 가구 또는 인테리어로 인한 냄새가 에어컨에서 나오는 바람과 혼합되어 눈이 따갑거나 매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이렇게 해보세요.

2~3시간 사용 후 창문을 열어 10분 정도 환기를 하면서 사용해 보세요.

→ 1~2개월 사용함에 따라 서서히 개선됩니다.

 

잠깐! 더 알아보세요.

에어컨의 냉매가 누설되어도 눈 따가움 또는 매운 증상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LG 가정용 천장 에어컨 [LG 에어컨 냄새] 냉기가 안 나올때 냄새가 심해져요. 송풍으로 사용 시 냄새가 나요

이런 원인/증상이 있나요?

희망 온도가 높게 설정되었어요.

냉방을 사용하고 정지 시 건조가 안 됐어요.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냉방 운전 중에는 공기 중에 있는 냄새 입자가 냉각판에 부착되어 에어컨에서 생기는 물과 함께 밖으로 배출이 되지만 희망온도에 도달하여 실외기가 멈추면 냉각판에 흡착된 냄새 성분이 습기와 함께 바람에 날려 나오게 되어 냄새가 날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보세요.

희망온도를 낮춰 사용해 보세요.

→ 초기 발생하는 냄새는 에어컨을 지속 가동하게 되면 냄새 입자가 에어컨에서 생기는 물과 함께 씻겨 배출됩니다.

 

냉방을 종료 후 [송풍 모드] 또는 [자동 건조] 기능을 이용하여 10분 이상 내부 습기를 건조 후 제품을 종료해 주세요.

→ 내부에 남아있는 습기가 냄새 발생의 원인이 됩니다.

 

지속적으로 냄새가 발생하면 제품을 분해 세척하는 방법도 있으니 전문 서비스매니저의 점검을 받아보세요.

 

 

출처: LG전자

스스로 해결: https://www.lge.co.kr/support/solutions

다음 이전